압구정로데오에서 양꼬치집 간 이야기.


오랜만에 더워진 저녁, 압구정로데오의 경성양꼬치에 갑니다. 1차로 황룡만두에서 찐만두 먹었는데 그건 나중에 포스팅 예정.

위치는.. 멀찍이 보이는 갤러리아백화점 비늘(?) 보시면 아실 듯.


천막 끝을 매의 눈으로 보면 라 칸티네타 아마노 - 지중해 음식 이라고 써 있습니다. 다음 지도에도 경성양꼬치가 안 나오고 하는 거 보면 뭔가 사연이 그려집니다.


시간이 대략 8시 정도인데 아주 여유있는 실내. 넓기도 꽤 넓습니다.


실내도 깔끔하고 주방쪽도 깔끔하고.. 언젠가부턴가 병 음료수가 뚱뚱이캔으로 점점 대체되고 있어요.


옥면도 있고 양갈비도 있고..


역시 깔끔한 식탁에 깔끔한 불판과 톱니식 꼬치구이기. 우리꼬치구이기 연락처도 있습니다.


메뉴판. 양꼬치 만삼천원.


요리도 몇가지 있습니다. 마파두부가 '순한 연두부 요리' 라고.

양고기 김치찌개가 눈에 확 띕니다. 드셔본 분에 의하면 양냄새 좀 난다고. 흥미롭네요.


카스 오천원 칭다오 7천원.


숯 좋습니다. 숯불 사진은 참 어려워요.


쯔란 양념은 직접 올려주십니다.


양꼬치 2인분이니 26,000원 어치. 1인분이 6개라는게 가장 인상적이고, 그 다름으로 인상적인 것은 양꼬치의 모양.


단면이 정사각형이 아니라 직사각형입니다. 유독 지방과 살코기가 차곡차곡 꽃혀있고요.

그리고 이렇게 각잡혀 있으려면 다 꽃은 후에 자르는 거겠죠? 꼬치집 남는 테이블에서 조선족 아주머니들이 꼬치에 양고기 꿰는 것도 이젠 보기 힘들어질지도.


자동으로 구워주니 별로 할 일이 없습니다.


예전 냉동양고기 꼬치에 직접 꽂아 터프한 양념 묻힌 양꼬치와는 한참 멀리떨어진 고급진 맛의 양꼬치입니다.


양갈비도 시켜봅니다. 2만원.


이건 좀 구워보나 했는데 옆에서 다 구워서 잘라까지 주시네요.


딱 보면 아시다시피 맛있는 양갈비입니다.


손님이 너무 없다는 것을 제외하면 가게 자체는 깔끔하고 고기도 맛있고 괜찮았습니다. 그러나,


동작구청 옆 만주양뀀 양꼬치 1인분 6천원에 칭다오 4천원 퍼 마시던 10년전 얘기까지 할 것은 없지만, 저 양꼬치 6개 가격에 천원 더하면 구로디지털단지 복성루에서 무제한샤부샤부를 먹을 수 있다는 게 아무래도 마음에 걸립니다. 삼겹살 만삼천원이야 곁들이는 찬과 쌈이라도 많이 나오지 않나요.




정말 많이 가는 무안갯벌낙지에 또 다녀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방문은 뭔가 좀 다름.


외관사진 재활용입니다.


내부 사진도 재활용. 여기 새단장한지도 벌써 꽤 되었네요. 이제는 점심 때 가면 사람이 언제나 반 이상은 차 있습니다. 예약 안 하면 못 먹을 날이 올 지도.


메뉴 사진도 재활용입니다.


그러나 확인 결과 가격 변동은 없음.

그러고보니 맵기 선택이 되는 모양인데 아직 한 번도 선택해본 적은 없네요. 항상 주시는 대로.


이번 방문에서 특이했던 건 지난 번에 방문한 건 7월 초였고 이번 방문은 7월 말 정도 되었는데 항상 친숙하던 사장님이 안 보입니다. 서빙 보시는 얼굴 생소한 분에게 여쭤봐도 대답이 없으시고.. 중국 분이라 잘 못 알아들으셨나?


그래서 그런지 반찬으로 나온 홍어무침도 뭔가 다릅니다.


비교를 위해 예전 홍어무침.


뭔가 불길한 예감이 스멀스멀..


뭐 어쨌건 예약까지 하고 간 아구찜. 소짜이니 3만원입니다. 그런데 사진 위쪽에 잘려서 안 보일 수도 있는데 밥통이 뙇.


아구도 냉동이 아닌 듯 뭔가 포슬포슬합니다.


밥통이 무려 세 개나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정작 사장님은 안 보이는데 단골 대접 쎄게 받는건가.. 싶었다능. 가위로 잘라놓은 밥통들.


사실은 아구찜 소짜 먹고 연포탕도 시키려 했는데 도저히 연포탕 먹을 입맛이 아니어서 생뚱맞은 식사 고등어조림 (7,000원) 등장.


아구양념에 밥 세개 볶았습니다.


원래 이렇게 먹으려고 한 건 아닌데 네 명 가서 음식값은 일인당 만원 나왔네요.


그건 그렇고 사장님.. 어찌 되신 거지.. 걍 휴가라도 가신 거길 빕니다.




몇 번 가서 먹어본 적이 있던 메기전문점 물레방아가 이전개업했다하여 찾아가봤습니다. 


이전한 위치는 같은 고양시 덕양구이긴 하지만 서울과 경기도 경계에서 100미터 떨어진 곳입니다. 전에 비해 상암동에 많이 가까와짐.

건물도 예전같은 분위기는 없지만 깔끔합니다.


옆에는 널따란 주차장. 이 집의 인기도를 생각하면 점심엔 꽉 차는게 당연한 데 아직 이전개업 사실이 잘 안 알려진 듯.


1층은 테이블 좌석. 깔끔합니다.

예약해놓은 분이 있어서 아예 냄비를 세팅한 좌석도 보이네요.


2층으로 올라갑니다. 여기는 전체 좌식 마루방인데 그래도 뭔가 널찍하고 깔끔한 것은 매한가지.

사실 이전하기 전의 이 집은 마루바닥에 사람들 지나다니기도 어려울 정도로 테이블 빼곡하게 놓고 있어서 손님끼리 등 부딪히며 바글바글한데 매운탕까지 끓이면 환경 아주 안 좋았죠. 그게 개선된 것 만으로도 아주 반갑습니다.


환경이 개선된 만큼 가격도 올랐.. 겠죠? 지난 방문이 한참 전이라 기억도 잘 안납니다만 만만치 않은 가격. 

참게가 들어가고 안 들어가고에 따라 다른 집은 맛 차이가 확 나는데 이 집은 또 그렇지가 않아서 그냥 메기매운탕도 먹을 만 합니다. 애초에 빠가사리나 쏘가리 없이 메기매운탕 만으로 맛집이 된 자체가 뭔가 비결이 있다는 거죠.


미리 주문해놨더니 이렇게 한 소끔 끓어버린 참게메기매운탕 중짜. (53,000)


참고로 끓이기 전 세팅된 사진은 이렇습니다. Jysv 님 사진.


반찬들 별 거 없지만 깔끔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끓이기 시작합니다.


야채랑 수제비 먼저 먹어야지 함부로 국물 떠 먹거나 참게/메기 발라먹다간 이모님들한테 엄청 혼납니다.

뭐니뭐니해도 민물매운탕은 수제비죠. 더 달라고 하면 아예 야채/수제비 세트로 넣어주십니다.


분명 메기매운탕이고 메기 살도 많이 들었는데 도통 흙내가 안 나는 신기한 집입니다. 흙내가 없는 덕에 국물이 달큰시원하고 왠만한 집 빠가사리 매운탕 뺨칩니다.


메기매운탕에 밥까지 볶는 훌륭한 집.


가격은 좀 하지만 접근성과 환경이 좋아져서 아마 좀 있으면 또다시 미어터지지 않을까 싶네요.




+ Recent posts